치아 통증 나타나 신경 치료 크라운 과정 진행한 태평역 치과 – 크랙 증상 나타났다면
안녕하세요
태평역 치과 의사,
박현성 원장입니다.
이는 우리 신체에서
단단한 부분이라
알려져 있습니다.
뼈보다도 단단한 조직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렇게 단단하고
튼튼한 조직임에도
여러 원인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크랙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크랙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원인은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의 비율이 크지만,
충치와 평소 식습관 등의
여러 원인을 꼽아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면밀한
검사를 통해 통증의 이유를
정확히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은 태평역 치과 에서
치아 크랙에 관련한
정보를 제공해드리려 합니다.
【 초진 】

2024.11.11
왼쪽 위턱 어금니로 저작할 때
시큰거리는 통증이 나타나는
양상을 확인했습니다.
이가 깨져 나간 것을 눈으로 확인했지만,
통증이 나타난 이유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엑스레이 사진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2024.11.11
면밀한 구강 검사 및
치근단 엑스레이 사진에서
치근 크랙을 확인했습니다.
저작할 때 통증이 있다면
보통 크랙이 신경 부근까지
진행되었을 때가 보통이라,
더 진행되지 않게 해야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크랙이 뿌리로 이어진 경우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발치를
염두에 두게 됩니다.
더 늦기 전에 어금니를 살리는
방법으로는, 신경 치료가 있습니다.
신경 치료 과정을 시행한 후
금이 가 있던 부분을 조심스럽게
삭제하여 크라운 보철 치료를
병행한다면 이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되도록이면
금이 가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이 좋겠죠?
오늘 안내드린 사례에서는
단단한 음식을 섭취하듯,
평소 식습관으로 인한
문제로 발생한 것이였습니다.
평소에 딱딱하거나 질긴 음식을
자주 섭취하고 계신 분들께서는,
섭취 빈도를 조금 줄이거나
드실 때 조심히 먹을 것을 권장드립니다.
한 번 깨져버린 치아는, 되살리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 진행 과정 】

2024.11.11
태평역 치과 에서
신경 치료 과정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우선, 근관 접근을 위한
치수강을 개방합니다.



2024.11.20
그러자 내부에 금이 명확하게
가 있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근관 길이를 측정하여,
근관의 길이와 위치를 정확히
파악했습니다.
다음으로 신경과 혈관 조직을
제거한 다음, 내부를 소독하고
세척해줍니다.
이 과정은 한 번으로 끝나지 않고
여러번 반복하는 과정을 거쳐야
깔끔하게 정리됩니다.
위의 과정이 완료되었다면
특수 재료로 근관을 충전해줍니다.

2024.11.28
태평역 치과 의
엑스레이를 보면 치근단 끝까지
충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대로 둔다면 금이 더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크라운을 올려
보호할 필요가 있습니다.
크라운을 올리기 전,
윗 부분을 깔끔한 형태로
밀봉하는 작업을 진행해야 됩니다.
신경 치료 이후
출혈이 많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진행하며 코어를
쌓아올려주었습니다.
어금니 신경 치료 과정을
마무리한 뒤, 본을 떠서 보철
제작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 크라운 수복 】

2024.12.05
태평역 치과 에서는 그 이후
제작된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시적해드렸는데요.
크라운이 원래 이의 형태와
유사하게 제작되어, 저작 시에도
불편한 곳 없이 제작되었습니다.
크라운을 올려, 심미성 증대와
통증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
【 마치며 】
오늘 태평역 치과 에서
치아 크랙 치료 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이시림 등의 통증이 있어도 방치한다면,
금이 계속 뿌리쪽으로 이어지면서
자연치를 살릴 수 있는 타이밍을
놓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기
구강 검진으로 구강 문제를
사전에 조치할 수 있게
관리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충치나 잇몸 질환 같은 특별한
문제가 없는데도 치아에
찌릿한 통증이 있다면,
다각도에서 면밀히 확인해야
통증의 원인을 바로잡을 수 있다는 것.
이 점을 다시 강조드리면서
오늘의 글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신경 치료 로 이를 보존한
태평역 치과 였습니다.

진료 기간:2024.11.11~2024.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