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인레이 종류 와 과정 한눈에 알아보기 (레진/ 테세라/세라믹/라바/골드)

치료기간 2023.05.24 ~ 2023.05.31
반갑습니다.
더서울의 박현준 원장입니다.
충치 진행이 시작되는
초기 1단계에서는
우식 부위를 제거하고
이와 비슷한 색의 재료로 때워주면 되지만,
충치가 어느 정도 커져
상아질까지 진행된 2단계의 경우나
우식의 범위가 인접면까지 넓어져
단순 레진을 했을 때 탈락의 위험이 있다면
치과 인레이 로 수복하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구강 내를 정확하게 본떠서
치과 인레이 를 제작하기에
우식을 제거한 부분과 정확하게 맞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저작력이 강하게 작용되는
어금니 부분에는 큰 강점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2단계 이상의 치료의 경우
본뜨는 과정이 추가되기에
최소 2회의 내원이 필요하기는 합니다.
더서울에 오신 환자의
실제 사례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초진: 검진받으러 왔어요!
제가 평소 꼼꼼한 성격이라
다른 의사들에 비해
검진시간은 몇 분 정도
더 걸릴 수 있지만
그만큼 정확하고 세심하게
진단한다는 것은
말씀드리지 않아도 아시겠죠?

오늘 이 분도
구내 시진을 통한 검진을 해보았더니
오른쪽 위 첫 번째 큰 어금니에
충치가 보이네요.
정확한 진단을 위해
파노라마 엑스레이를 찍어보았습니다.

파노라마는 28개 치아와 턱뼈, 턱관절까지
평면 사진에 모두 담아야 되기에
조금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고,
치열에 따라 사진에서 겹쳐 보일 수 있습니다.
저는 하루에도 몇십 장의 파노라마를
보면서 생활하기에^^
가끔은 컬러 사진보다
흑백의 엑스레이가 더 익숙할 때도 있지만
오랜만에 병원에 왔거나
엑스레이를 처음 보는 분은
이해하기 힘드실 수 있다는 생각에
환자의 동의 후
치근단 촬영을 추가로 해보았습니다.

이렇게 보니 어금니의 앞부분이
우식으로 인해 상해 있는 모습이 보이네요.
그나마 다행인 점은
그 깊이가 내부의 신경관까지는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보여서
이와 같은 2단계 우식은
치과 인레이 를 통해 수복해 주면 되겠습니다.
2. 종류
먼저 치료에 들어가기 전에
여러 종류에 대한 설명을
드리려 하는데요,
2-1. 레진(Resin)
치아와 유사한 색의 높은 심미성
접착력이 좋음
비교적 저렴
vs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져 작은 충치에 유리
변색, 파절 가능성이 있음
2-2. 테세라(Tecera)
레진의 단점을 개선하여 강도가 높아짐
가성비가 좋아 비용 절감이 필요할 때 고려
레진보다 더 자연스러움
vs
강한 교합력에 깨질 수 있음
장기간 사용 시 변색, 착색 가능성
2-3. 세라믹(Ceramic)
치아와 유사한 높은 심미성
단단한 도자기 소재로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
자연치와 결합력이 강해 잘 떨어지지 않음
vs
교합력이 강할 경우 파절의 위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치질 삭제량이 많아질 수 있음
2-4. 라바(Lava)
세라믹의 단점을 보완하여 만든 재료
지르코니아+실리카+레진을 결합시켜
내구성이 매우 우수
세라믹의 굴곡진 부분에서의 파절 단점을 보완
심미성이 높음
vs
금속이 아니기에 깨질 가능성은 있음
2-5. 골드(Gold)
장기간 사용해도 파절, 변색, 부식률 적음
내구성이 우수
치질 삭제량이 적음
vs
심미성이 떨어짐
열전도율이 높아 뜨겁거나 찬 음식에
찌릿한 느낌이 생길 수 있음
고가의 비용에 대한 부담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신다면
레진이나 테세라도 오랜 기간 사용된
안정성이 입증된 방법입니다.
또한 교합 관계가 너무 긴밀하여
최소한의 치면을 다듬어서
수복물을 제작해야 되는 경우에는
골드로 진행하기도 합니다.
다만 저희 더서울에서는
내구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치료-유지관리에 좀 더 나은 결과를
안겨줄 수 있는 라바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환자가 단단하고 끈적거리는 음식의
섭취를 주의한다면
꽤 오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오늘 이 분 역시
라바(Lava) 로 치과 인레이 를 진행했는데요,
3. 과정

1차 내원)
a. 마취를 하고 충치를 제거하여
와동을 형성해 줍니다.
b. 고무재, 스캐너 같은 방법에 따라
인상 채득을 진행합니다.
c. 기공소에 보내 원하는 재료에 맞추어 제작합니다.
d. 비어있는 와동은 임시 충전재로 막아둡니다.

2차 내원)
e. 임시 충전재를 제거하고
기공소에서 도착한 보철물을
와동 부위에 시적 해봅니다.
(이때 의사의 견해에 따라
내부 산 처리 또는 본딩 과정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f. 접착용 시멘트로 보철물을 붙입니다.
g. 여분 시멘트를 제거합니다.
h. 맞물림 검사를 통해 교합을 조정합니다.

이렇게 치과 인레이 종류에 따라
장단점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환자의 구강상태와 충치의 위치와 범위,
경제적 여건, 개인의 관리 여부를 고려하여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 후 결정하셔야 됩니다.
또한 치과 인레이 제작을 위해서는
정밀한 치아삭제와 정확한 인상 채득,
완성도 높은 기공물 제작과 높은 적합으로
접착이 마무리되어야
재료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같은 진료라고 할지라도
의사의 숙련도와
사후관리 능력에 따라
치아와 충전재의
수명을 늘릴 수 있기에
의료진의 경험이 풍부한 병원을 선택하셔서
만족스러운 결과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더서울의 박현준 원장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