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한곳이 흔들리고 아프다면? 태평역 치과 골이식 및 재식립 과정 설명
안녕하세요,
태평역 치과 박현준 원장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치아 상실이 일어났을 때
임플란트를 통해 개선하고 있습니다.
이전보다 의료기술이 발달하여
신뢰가 가는 진료로 자리 잡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꾸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주위염이나 골소실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실패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스스로 성실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영원한 치료란 없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태평역 치과 에서
이와 관련 내용을 예시 사진과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
1. 문제점 확인
엑스레이 예시 사진을 보며
어떤 문제점이 관찰되는 지 확인해보겠습니다.

2023.02.17
임플란트 주변으로
골소실이 크게 일어나며,
극심한 치주염이 생긴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임플란트 주변으로 통증이 나타나거나
흔들리는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개선 방법은?
픽스처의 thread의 1/3가량의
골소실이 일어났을 경우

태평역 치과 에서 판단했을 때,
치조골 소실이 광범위하게 일어나
픽스처를 제대로 고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동요감(흔들림)이 예상 되기에
식사도 어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그 주변으로 염증이 자리 잡고 있어
통증까지 예상되는 만큼
하루빨리 제거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태평역 치과 에서
상기 내용을 토대로 정리하자면
기존 픽스처 제거 후
골이식 수술을 동반한
재식립이 필요하겠습니다.
3. 픽스처 제거 및 골이식 과정
태평역 치과 에서

픽스처가 훤히 들여다보일 정도로
뼈가 크게 녹아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타원에서 한 크라운은 흔들림으로 인해 빠져 버린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3.02.17
우선 주변 구강 환경을 깨끗하게 정돈한 다음,
추가적인 골이식과 함께
새로운 두께와 직경의 픽스처를
깨끗한 멸균 상태로 다시 심어주어야겠습니다.
또한 이미 고정력이 약해지고
염증에 이환된 기존 픽스처는 제거하고
치유의 기간을 가지는 것이 좋겠습니다.
4. 임플란트 재식립 과정
어느정도 시간이 흐르면
그 자리의 뼈가 조금씩 차오릅니다.

2023.05.17
상기 예시 사진도
감염 부위를 깨끗하게 정리하고
재식립을 하였는지
일부 신생골이 차오르고
이식했던 뼈도 잘 자리 잡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정력이 충분하면 보철을 수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앞서 보았던 흔들림이 예상되던 픽스처가 있던 자리에도
일부 뼈를 넣어둔 것인지
이전보다 방사선 불투과성을 보이며
조금은 더 건강해진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2023.05.28
디지털 방식을 이용하여
초기 고정력을 잘 받을 수 있는 위치로
선정한 뒤

2023.05.28
하치조 신경과 거리를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자리에

2023.05.28
재식립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뼈도 더 보강할 수 있습니다.
5. 보철 수복
모든 과정이 잘 진행되고 나면
마지막으로 보철을 올려줍니다.

2023.08.20
이 케이스에서는
왼쪽 아래 맨 뒤 큰 어금니 두 개(#36, #37)를
묶어주는 브릿지 보철을 수복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본래 골질이 좋지 않다면,
임플란트는 상대적으로 측방압에 약하기 때문에
서로 묶어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3.08.20
자연치는 치주 인대로 뼈와 연결되어 있지만,
임플란트는 직접 유착되어 있기에
재수술을 필요로 한다면
그것은 상당히 고난도 시술이 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태평역 치과 박현준 원장이었습니다.

치료 기간 : 2023.02.17 ~ 2023.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