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치과 신경치료 후 충치로 부러진 어금니 임플란트 식립으로 기능과 심미 모두 회복한 과정
안녕하세요, 더서울의 박현준 원장입니다.
한번 수복 받은 부위라도
다시 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 점
여러분들은 알고 계셨나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대부분은 관리가 이뤄지지 못해
재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이전에 진료를 받으며
수복한 범위가 크다면
건전 치질이 매우 적은 상태인데요.
이곳에 다시 문제가 생긴다면
자연치를 잃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오늘 성남 치과 에서 설명할 내용은
이와 관련된 임플란트 케이스인데요.
이제 사진과 함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어금니의 깨짐

촬영일 : 2024.06.28
처음 내원을 했던 당시의 모습은
좌측 아래 어금니가 깨져있었는데요.
손상된 범위는 광범위하여
건전 치질이 거의 남지 않았습니다.
더불어, 내부는 검게 변하여
충치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충치는 그냥 검게 변하고
통증이 있는 정도로만 생각하는데요.
그러나 이것이 점차 심해지면
치아의 겉 부분을 덮고 있는
단단한 법랑질이 약해지게 됩니다.
결국 작은 충격에도 깨지거나

촬영일 : 2024.06.28
또한 이전에 근관치료를 받은 치아로
치질 구조가 약해져 있는 상태였기 때문에
더욱 파절이 쉽게 일어날 수 있었겠죠.
이렇게 부러진 치아를 방치하면
2차 감염, 치근단 염증 등이 나타나기에
하루빨리 치료를 해주는 것이 좋은데요.
그러나 현재 건전 치질이 남지 않아
재신경치료를 진행한다 해도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성남 치과 에서는
임플란트를 계획하게 되었습니다.
2. 발치 과정
다행히 해당 케이스 같은 경우
식립하기에 충분한 골질이었는데요.
디지털 가이드를 통해서
심어질 부위와 각도, 방향 등
알맞게 선정해 두었습니다.
이어서, 진료 과정에서 통증이 있다면
트라우마가 남는 결과가 생길 수 있고,
후에는 진료 받는 것을 주저하게 될 수 있죠.
따라서 충분한 양의 마취를 시행하여
감각이 둔해진 것을 확인하고 나서
잔존 치근을 뽑아드릴 수 있었습니다.

촬영일 : 2024.07.03
사진처럼 치근이 부식되었기 때문에
쉽게 부서지는 상태였는데요.
그렇기에 남은 조직이 없도록
수차례 확인하며 진행되었습니다.
3. 식립 과정
이어서, 성남 치과 에서는
임플란트 식립을 도와드렸는데요.
이전 과정에서 진행된
모의 수술에 데이터를 토대로
문제없이 심어드릴 수 있었습니다.


촬영일 : 2024.07.03
사진에 표시한 부분을 확인해 보면
알맞은 위치와 깊이로 심어져 있는데요.
3D-CT 사진을 살펴봐도
하치조 신경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죠.
이렇게 심어진 픽스처는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골유착을 기다렸습니다.
이후 ISQ 수치를 확인해 본 결과
다행히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최종 보철을 만들 준비를 했습니다.

촬영일 : 2024.10.14
이처럼 스캔 바디를 체결하는 이유는
보철을 컴퓨터로 제작하기 위해서인데요.
이를 통해 스캔된 데이터를 토대로
정교하게 보철을 디자인하여 제작할 수 있죠.
4. 최종 결과

촬영일 : 2024.06.28 / 2024.10.21
성남 치과 에서 촬영한 사진을 보면
최종 보철을 수복하고 나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얼핏 봐서는 치료받은지 모를 정도로
자연스럽게 만들어졌습니다.
또한 디지털로 섬세하게 제작하여

촬영일 : 2024.10.21
이렇게 튼튼한 보철로
건강하게 개선되었는데요.
앞으로는 꾸준하게 검진을 받으며
오랜 기간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성남 치과 에서 임플란트 식립한
진료 케이스를 설명해 드렸는데요.
이처럼 한번 진료받은 부위는
언제든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어금니는 질환이 나타나기 쉬워
더욱 관심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촬영일 : 2024.10.21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이번 포스팅은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치료기간 : 2024.06.28 ~ 2024.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