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란역임플란트치과 신경치료 후 어금니 치아 깨짐 원인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모란역임플란트치과
더서울 박현준 원장입니다.
신경치료는 자연치를 보존하기에
좋은 방법 중 하나이지만,
그 후 꾸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신경이 없으니 통증도 없고
방심하기도 쉬워,
어느 날 영문도 모른 채
초기 단계를 놓치고 나서
큰 진료로 다가오는 일이 많습니다.
보철을 씌우고 있기 때문에
겉으로 보이는 것이 다는 아니며,
꾸준하게 검진을 받아볼 필요가 있는 거죠.
건강한 자연치 오래 잘 쓰기 위해선
미리 점검하고 관리하는 것
그것이 확실한 방법이라는 점
강조 드리며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1. 어금니 치아 깨짐

촬영일 : 2024.12.13
엑스레이 사진을 보면
이전에 근관치료를 받았던 곳에
어금니 치아 깨짐 소견이 보입니다.
보통 이가 깨지는 이유는 다양하나,
특히 신경치료를 받은 후
흔히 볼 수 있는 일인데요.
어째서 어금니 치아 깨짐이 나타날까요?
정답은 진료 과정에 있습니다.
과정을 설명해드리자면
감염 또는 손상된 치수를 정리하고
내부를 충전재로 밀봉하는 방법이죠.
중요한 점은 신경치료 후
치수가 제거되었다는 건데요.
이를 통해서 자연치는 보존할 수 있으나,
혈액과 수분 같은 영양분을 공급하는
치수가 제거되며 점점 건조해집니다.
모란역임플란트치과 에서 말씀드리면
결과적으로는 마른나무처럼
작은 충격에도 부러질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자연치와는 다르게
신경이 없기 때문에 통증이 없는데요.
그렇기에, 추가적인 깨짐이나
감염으로 이어지는 일도 흔히 있습니다.
그렇다면, 살릴 수 있을까요?
우리 눈에 보이는 부위인
치관이 깨진 경우라면
보존할 가능성이 큽니다.
깨진 정도에 따라
레진 인레이, 온레이, 크라운 등
다양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죠.
그러나 치아 뿌리가 파절되었다면
아쉽지만 발치를 하는 것이 좋은데요.
왜냐하면 진료 후 보존을 해도
예후가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철을 씌우고 겉으로는 멀쩡해 보여도
깨진 뿌리의 상태는 그대로인데요.
균열 사이로 세균이 침투하면서
잇몸이나 뼈로 염증이 퍼져 나갈 수 있습니다.
후에는 이가 흔들리면서
불편감만 늘어날 뿐입니다.
2. 진료 과정

촬영일 : 2024.12.13
모란역임플란트치과 에서
지금 보여드리는 사진은
발치한 작은 어금니입니다.
위에 사진에서 관찰할 수 있듯이
세로 방향으로 쪼개지면서
2개로 나눠진 모습이죠.
이를 뽑았다 해서 끝이 아닌
Implant 식립을 통해서
다시 회복할 수 있는데요.
먼저 진행하기 전에는
잔존골을 면밀히 확인하고,
조금이라도 더 오래 유지될 수 있는 곳에
식립 각도와 위치를 설정해야 되죠.
그러기 위해선
평면적인 엑스레이보다는
3D-CT 촬영을 통해서
정밀 진단을 진행하는데요.
CT는 3차원적인 영상을 통해
여러 방향에서 단면을 만들어서
좀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촬영일 : 2024.12.13
모란역임플란트치과 와 함께 보면
이를 뽑은 직후이기 때문에
치아가 있던 공간이 비어 있는데요.
그래도, 잇몸도 건강하고
상악동과 거리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문제없이 심어도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CT 촬영을 통해 확인한
해부학 구조를 토대로
흔들림 없이 유지될 수 있는
식립 위치에 심게 되는데요.

촬영일 : 2024.12.13
식립 직후 모습은
알맞은 위치와 간격으로
잘 심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새로 심은 기둥은
주변 뼈가 서서히 감싸게 되는
충분한 기간을 주게 됩니다.
3. 완료 모습은?
모란역임플란트치과 에서
앞서 설명드린 내용에 따라서
골 융합을 마치게 되면,
잇몸에 맞는 지대주를 연결하고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연결하여
촬영일 : 2025.03.17
그 후 미세한 교합 조정을 통해
편안한 맞물림을 만들 수 있죠.

촬영일 : 2025.03.17
문제가 있던 부위는 제거된 후
새로운 심미, 기능을 담당하는
보철이 생긴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한번 진료를 받았더라도
관리가 이뤄지지 못한다면
문제가 일어날 수 있으니
꾸준한 관리를 권해드립니다.
모란역임플란트치과 였으며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치료 기간 :2024.12.13 ~ 202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