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임플란트 치과 치주 질환으로 인한 잇몸 출혈부터 발치까지, 초기 진단과 대처가 필요한 이유
성남 임플란트 치과 의
더서울 박현준 원장입니다.
어금니가 시큰거리거나 흔들리는 느낌은
나이가 들면서 더욱 빈번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별일 아니겠지” 하고 넘어가기 쉬우나,
사실 이러한 증세는 구강 내에서 보내는
도움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처음은 간단히 치료받을 수 있었지만
오래 방치할수록 치료는 더욱 커지며
비용 시간 또한 더 큰 부담으로 다가오니,
제때 치료를 받는 것을 권해드리며
이번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1. 치주 질환이 동반되는 구강

촬영일 : 2024.10.23
엑스레이를 보니 3개의 좌측 어금니
주변으로는 염증이 동반되며
골 소실이 관찰됩니다.
(X-ray는 좌우가 반대로 보입니다.)
염증과 소실된 크기를 봤을 때
치아를 제대로 지탱하지 못할 정도의
진행 범위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대개 소홀한 청결 관리로 나타나며,
현재 성남 임플란트 치과 에서 봤을 때
치아에 치석이 많이 붙어있는 것으로 봐선
치주 질환을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많이 간과하고 넘어가는
잇몸 출혈로 시작하는 치은염에 불과하나,
오랜 시간 조치가 취해지지 않으면
염증이 잇몸을 넘어 치조골에 침범을 합니다.
이를 많은 사람들이 풍치라 말하는
치주염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촬영일 : 2024.10.23
이때는 눈에 띄는 증세가 있으며
치조골이 점차 녹아내리면서
치아의 동요도(Mobility)가 생기며,
지금처럼, 심한 흔들림이 있다면
보존 치료를 진행한다 해도
개선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발치로 이어지게 됩니다.
2. 디지털 식립

촬영일 : 2024.11.13
지금 성남 임플란트 치과 에서
보여드리는 사진은
발치한 어금니들입니다.
치아들이 많이 부식된 만큼
치질 구조가 매우 약해져 있었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부러질 수 있으나,
다행히 남은 조각 없이 뽑은
모습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염증조직까지 제거되었으니
식립 과정을 진행하게 되지만,

출처 – 구글
지금처럼 어금니의 골소실이 있다면
[상악동]과의 거리는 근접해집니다.
이때 무리하게 식립을 진행하면
천공이 일어날 수 있으니
상악동 거상술을 진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먼저 디지털 분석을 통해서
식립 위치 방향 등을 결정하며,
유의할 점을 파악합니다.


촬영일 : 2024.11.13
사진의 표시 부분과 같이
골이식 필요하다는 점,
Drill 미끄러짐 또한 주의해야 되죠.

촬영일 : 2024.11.13
이어서, 사전 모의 식립에 따라서
선정된 위치에 픽스처가 심겨 있으며,
상악동 거상술 또한 부작용 없이
잘 마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 골유착 후 보철 수복
4-5개월 뒤 골화가 되어
튼튼한 고정력을 얻은 다음엔
인상 채득을 진행하며
지대주를 연결해 줍니다.

촬영일 : 2025.03.09
이어서, 성남 임플란트 치과 에서
완성된 보철을 수복한 모습을 보여드리면,
처음보다 이식 재료가 골화가 되며
어지간한 충격도 버틸 수 있는
고정력을 확보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보철 사이사이에도
적절한 양의 공간을 부여하며
자정작용 또한 용이해 보일 뿐만 아니라,

촬영일 : 2025.03.09
실제, 구강 내에서도 확인해 봐도
보철이 공간을 튼튼히 자리 잡고 있습니다.
나사가 들어가는 위치는
심미적, 기능적으로 방해받지 않고,
저작압으로 인한 깨짐이 나타나거나
추후 나사 풀림이 없도록 형성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hole은 재료로
빈틈없이 막아두면 진료가 끝나게 됩니다.
4. 결론
오늘 성남 임플란트 치과 에서
설명해 드린 예시 사례처럼
치주 질환은 초기에 치료받지 않으면
결국 치조골 소실로 이어지게 되며,
발치를 하는 일이 찾아옵니다.
물론, 이러한 일이 나타나지 않도록
미리 예방을 해주는 것이 좋으나,
이미 치료를 받아야 되거나
진료 계획을 앞둔 분들에게
오늘 내용이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성남 임플란트 치과 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