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복치아 (견치=송곳니) 발치 후, 무절개 임플란트 식립 증례

꼭꼭 숨어라 우리 견치 어디 있니~?
원래 있어야 될 위치에 있지 않고
잇몸 속, 입 천장에 묻혀 있는
말썽꾸러기 같은 곳이 있습니다.
바로 ‘ 매복치아 ‘ 죠.
이렇게 숨어 있는 것들은
다른 치료들을 방해하기도 하고
염증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인접치 뿌리에 가까이 있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신경을 건드릴 수도 있죠.
대부분은 어린 나이 때 발치를 하는데요.
생길 수 있는 문제들을 미리 예방하기 위한 목적이죠.
그런데 이 분은 30대가 될 때까지
잇몸 속에 꼭꼭 간직해 오셨는데요..
도대체 어떤 사연을 갖고 있을지,
더 서울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송곳니 매복치아 , 널 어쩌면 좋니?』
“저 임플란트를 심어야 되는데 송곳니가 잇몸 속에 있어서 어렵다네요..
더서울이 잘한다길래 찾아오게 되었어요.”

허허 송곳니 매복치아 ?
눈물인지 콧물인지.. 눈앞이 뿌예지네요..
그 이유는 바로 ‘송곳니’ 때문!
28~32개 가운데
뿌리가 제일 깊고 튼튼한 곳이죠.
네, 뽑기 무진장 어려운 곳입니다.
하지만 어쩝니까,
더서울을 믿고 찾아오셨으니
최선의 결과를 안겨드려야겠죠!!?!


이분은 # 12 – # 15가
브릿지로 연결되어 있었는데요.
짐작하건대 매복치아 때문에
이렇게 길~~~~~~~게
연결을 해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수명이 짧을 수밖에요.


자, 좀 더 자세히 확인해 보기 위해
CT를 찍어봤습니다.
제가 표시해둔 곳을 보면
숨바꼭질을 하듯 꼭꼭 잘 숨어있네요.
더서울에서는
모든 진단 내용을 토대로
계획을 세웠습니다!
매복치아 제거한 뒤
임플란트를 통해
빈 곳들은 빼곡히 채워주기로 했습니다.
『치과가 무섭다면? 무절개로.』


힘겨운 발치가 끝이 났네요.
주변 조직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안전하게 제거해 드렸습니다.
뿌리가 깊고 굵어서 애를 좀 먹었지만
다행히 별문제 없이 끝났네요.
이제 픽스처를 심어야겠죠?
당연히 치조골 소실도 심한 상태였기에
뼈이식도 튼튼하게 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말이죠.
190cm에 가까운 건장한 남성분이
“너무 무서우니깐 무절개로 될까요..?”
하며 수줍게 질문을 하셨습니다.
어… 네…
원한다면 해드려야죠..^^




무절개로 방향을 잡고
컴퓨터 분석을 이용해
식립 위치를 결정하고
어떤 형태로 올라갈 것인지
디자인 과정까지 끝마쳤습니다.
이후 뼈이식과 식립,
모든 과정이 마무리되었는데요.
어떻게 변했는지 볼까요?


텅 비어져 있던 곳이
튼튼한 임플란트로 채워져 있네요.
매복치아 에 임플란트까지..
쉽지 않은 여정이었지만
그래도 더서울이 또 해냈습니다^^

『정기검진 잊지 마시길.』
환자처럼 구강 상태가 좋지 않거나
보철 개수가 많은 분들은
정기검진이 더! 중요합니다.
스스로의 관리,
주기적인 검진이 동반되어야
구강 건강을 오래 지킬 수 있다는 점.
잊지 않고 오실 거죠?
따뜻한 봄날에 다시 뵙겠습니다^^
(여러분들은 내일 또 뵐게요~)


치료 기간 2021.03.07 ~ 2021.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