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치과 초고령 환자 어금니 발치 후 보험 임플란트 식립 증례
안녕하십니까,
성남 치과 박현준 원장입니다.
오늘 보여드릴 임상증례는
저희 더서울에 찾아오셨던
초고령 환자의 케이스입니다.
연세가 많으신 만큼
곳곳에 이가 빠져있거나
충치가 생긴 치아가 있긴 하나
생각보다 구강위생관리를
잘하셨다는 느낌이 들긴 했습니다.
1. 구강 검진
바로 사진으로 설명드리자면,

오른쪽 아래 첫 번째 작은 어금니가
최근 들어 많이 흔들리고
피가 난다며 찾아오셨습니다.
정말로 잇몸 부근이
빨갛게 부어있으면서
타진을 해보니 통증과 함게
흔들림이 심하셨습니다.
2. 엑스레이 진단

엑스레이를 찍어서 살펴보니
유독 방사선 투과량이 많은
잇몸뼈 부근이 보이실까요?
이것은 뿌리를 감싸고 있어야 될
치조골이 아래로 많이 흡수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여기에 보존치료를 하더라도
치아의 문제가 아닌
주변 치주조직의 문제이기에
예후가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네요.

성남 치과 에서는
환자께 해당 치아는 발치 후
임플란트 식립을 권장 드렸습니다.
또한 소량의 뼈이식술(GBR)이
진행되어야 될 거 같다는
안내도 같이 드렸습니다.
왜냐하면 병소 때문에
치조골 퇴축이 심했기 때문이죠.
그래도 다행히
당뇨병 같은 전신질환은
없는 상태였으며
신체 컨디션 또한 나쁘지 않으셨습니다.
보통 초고령 환자분들께선
당뇨 또는 골다공증과 같은
질환을 앓고 계신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이럴 때는 수술을 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지혈이 잘되지 않을뿐더러,
골질이 그렇게 좋지 못하기 때문에
픽스처를 심어드려도
골융합이 잘되지 않거나
교합력을 잘 버티지 못하여
금세 빠지는 일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럴 땐 차라리
브릿지로 안내를 드리기도 하는데요,
다행히 성남 치과 에 오신 이 분은
디지털 방식을 이용하면
더욱 빠르고 안전하게
식립이 가능할 것 같았습니다.
3. 디지털 임플란트

환자의 구강을 본뜨고 나서
엑스레이, 스캔 자료, CT를 참고하여
픽스처가 심어질 위치를 파악합니다.
빨갛게 표시되어 있는
하치조 신경관의 거리를
사전에 미리 알아보고,
안전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의 픽스처를 식립해야 되기 때문이죠.

또한 어느 방향과 각도에서 심어야
크라운을 올렸을 때
음식물 끼임이 적고
관리가 쉬우실까 고민하면서
수술 준비를 합니다.
4. 식립 후 보철 수복
성남 치과 에서는
디지털 방식을 이용하여
계획했던 그대로,
오른쪽 아래 작은 어금니를
발치한 뒤
픽스처를 심었습니다.

이때 이 분은
보험 임플란트 혜택을 받으실 수 있는
모든 조건을 충족하고 계시기에
크라운과 픽스처의 연결지대주는
기성 어버트먼트를 사용했는데요,
기성품이라고 하여
걱정하실 건 전혀 없습니다.
식립이 일직선으로 잘 되었기에
어버트도 그에 맞추어 잘 올라갔고,

보철은 PFM으로 제작되었는데
이 또한 내면이 금속 재질이긴 하나
겉으로 보기에는 티가 나지 않습니다.
환자 역시 성남 치과 에서
최종 보철까지 세팅 후
역시 잘한다는 소문이 괜히 나는 게 아니라며
흔들리고 스트레스였던 이가 빠지고,
이제는 단단하고
건강한 느낌이라며
매우 만족해하셨답니다.
보험 임플란트는
국가에서 정한 대로
본인 부담금 30%만으로
진행하게 되는데요,
비용이 다 똑같다면
잘하는 곳에서 하는 게 좋겠죠?
남녀노소 불문하고
굳이 더서울을 고집하시는 이유가
분명히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남 치과 박현준 원장이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