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금니 교체해야 되나요? “이것”을 하지 않아 발치… 성남 치과에서 무절개 임플란트 진행한 증례
“ 오래된 금니는 언제 교체해야 될까요? ”
골드 크라운의 평균적인 수명은
7~10년 전후입니다.
하지만 말 그대로 평균수명이기에
치료 당시 치아 상태와 자가 관리에 따라
1~2년밖에 못 쓸 수도 있고,
길게는 20년 이상 쓰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언제 교체를
하는 것이 좋을까요?
정답은 구강검진을
해봐야 알 수 있다입니다.
통증이 있거나 불편감이 있다면
말씀드리지 않아도
성남 치과 에 진료를 오시겠지만
증상이 없다면 많은 분들이
정기검진을 소홀히 여기시는데요.
씌워놓은 치아는
영구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검진 및 관리를 해주어야
오랜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
크라운은 모자와 같은 형태로
접작체로 붙여둔 것이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지나면
접착제가 녹을 수 있습니다.
또한 눈으로 보이진 않지만
크라운 경계 하방으로는
깎인 치아면과 뿌리가 있죠.
그렇기에 구강 위생관리가 잘되지 않으면
음식 찌꺼기가 침적되면서
틈새로 충치가 점차 서서히 진행되어
통증 없이 내부가 깊게 썩고
급기야 신경이 괴사할 수도 있습니다.
증상도 없고 보이는 것도 없다 보니
점점 속에서 썩어서 악취가 나고
빈 깡통이 되어 갑작스럽게 부러져
살릴 수 없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만약, 성남 치과 에서
정기검진을 꾸준히 받았더라면
관리가 잘 안되는 부분을 알려드리고
눈에 보이지 않는 침착물들을
스케일링과 같은 기구로 제거해 주고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재치료함으로 이를 살릴 수
있었을 텐데 말이죠.
이와 관련해서 금니를 20년 넘게
쓰다가 내부에 문제가 깊어져
무절개 임플란트를 하게 된 증례를
보여드리겠습니다.
1. 20년 된 금니
골드 크라운을 20년 넘게 쓰셨는데
아파서 성남 치과 를 오신 환자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
오래되어 많이 닳아있지만
별다른 이상이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고 악취가 나서
이쑤시개처럼 얇은 기구로
경계 사이를 확인을 해보니
기구가 쑥쑥 들어가고 검은 잔여물이
나오는 것을 보면
속이 썩어있는 것이 분명했습니다.
내부를 살펴보기 위해서
엑스레이 촬영을 했습니다.

보철은 엑스레이 불투과성으로
내부가 보이지 않지만
역시나 씌워놓은 경계 하방으로
뿌리가 까맣게 썩어있는 것이
관찰됩니다.
충치가 일부 진행된 경우는
충치만 제거하고
보강재를 넣어 다시 씌울 수 있지만
안타깝게도 성남 치과 케이스는
다 썩어서 살릴 수 없는 상태입니다..
*그렇기에 정기검진을 수백 번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2. 통증은 낮추고 빠른 회복이 가능한
무절개 임플란트 !
20년 이상 된 골드크라운이 있을 정도면
연세가 짐작되시는 분들도
있으시라 생각되는데요.
연세가 드실수록 전신질환이나
노화 현상으로
수술 후 체력 저하로 면역력 감소 및
병세 악화로 될 수 있기에
편안한 환경 조성 및 멸균 시스템,
빠르고 안전한 수술이 필요합니다.
그렇기에 관련된 기기를 갖추고
노령층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임상 경험이 많은 의료진에게
받아야 되는데요.


성남 치과 는
3차원 디지털 기기를 통해서
환자 구강상태를 프로그램상에
그대로 재현해 주어
내부 구조와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무절개 임플란트 전,
모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안전한 결과를 만들어드릴 수 있습니다.

수술 후 모습입니다.
뼈가 상당수 소실되어 상악동 거상술까지
진행해 드렸는데요.


고난도 작업에 해당하는 상악동 거상이
안정적으로 되어있고
무절개 임플란트 식립이 된 모습입니다.
발치 후 생긴 공간을 이용하여
뼈를 밀어 넣어 채우고
무절개 임플란트 를 심어드렸습니다.
잇몸을 절개하지 않고
제 위치를 활용하여 심었기 때문에
수술 후 통증이나 붓기가
거의 없고 회복도 빠르게 진행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더 궁금하신 것이 있다면
아래 댓글 또는 성남 치과 로 문의 남겨주세요:)

치료기간: 2022.12.05~2023.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