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치의 기능을 고려한 임플란트는 쉽게 파절 되지 않습니다. 장지역치과 증례

주변에 임플란트 수술을
경험하신 분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상악동 거상술,
뼈이식을 동반한 술식
전악(풀악) 수술… 등등
고난도 시술로 알려진 케이스를
한 번쯤을 들어보셨을 텐데요.
임플란트 시술 자체는
장지역치과 분야에서 고난도 시술로
알려져 있습니다.
단순히 심기만 하면 될 것 같은
하나짜리 케이스도 고난도 시술이다?
이것은 달리 말하면 하나를 심더라도
단순히 심어서는 안된다는
말과도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의 치아는 씹는 기능을 할 때
위아래가 긴밀하게 맞물리며,
각 위치에서 교합압을 받고
분산하고 있는데요.
제위치에 있지 않거나
높이가 맞지 않는다면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파절 되거나 닳고 염증 및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또한 마찬가지로
식립 할 때 인공 뿌리의 각도 및 고정 깊이,
고정체의 길이와 폭,
지대주(기둥)의 각도와 형태,
보철의 각도와 형태 등등
그 외 다 나열할 순 없지만
이 모든 것들의 상호 조화와 균형을
고려하여 계획 및 설계가 필요한데요.
저의 경우 이러한 부분을
어떤 방식으로 계획하고 설계하며,
어떻게 적용했는지
시술 과정을 보며
이와 관련된 내용을 다뤄보려 합니다.
지난번 타원 임플란트 가 파절 되어
장지역치과 를 찾아주신 분께서
반대쪽에 인공치아를 심으러 오셨습니다.

오랫동안 결손된 부위와
뿌리만 남은 치아(잔존 치근)을
발치하고디지털 임플란트를
진행하기로 하셨습니다.
이는 안전성 높고 빠른 수술이
진행될 수 있도록
디지털 프로그램을 통해
사전 모의 시술을 진행하는 것을 뜻합니다.

위 사진은 환자의 구강상태를
디지털 프로그램에 그대로
재현한 모습입니다.

구강 내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잇몸 내부에 있는 뼈의 골격과 밀도,
상악동, 하치조 신경관 등과 같이
주변에 건드려서는 안되는 주요한 구조를
3차원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정확한 수치로
데이터화할 수 있습니다.
물론, 과거에는 이러한 기기 없이도
식립이 가능했습니다만
그렇기에 실패율도 높았던게 사실입니다..

구강 상태를 고려한
제일 이상적인 형태의 보철을
미리 설계하고
그에 맞는 인공뿌리와 지대주의
각도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잇몸을 열어보지 않아도
뼈 상태 및 위험인자를 미리 확인하여
무절개 또는 최소절개가 가능하여
통증과 회복 기간도 단축됩니다.
그렇기에 장지역치과 에서는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설계에 맞게
정확한 위치에 심는 것는 것은
오로지 의사의 술기이기 때문에
실력이 기본 바탕이 되어야
디지털 기기 사용한 보람도
볼 수 있겠죠?
그럼 더서울 에서는
얼마나 정확도 높은 식립이 되었는지
확인해 볼까요?

3차원 시뮬레이션과
동일한 위치에 정확하게
심겨져있는 모습입니다.
(16번은 17번 경과에 따라
차후 진행 예정입니다.)

구강내부도 보여드리자면
고정체 간격이 일정하고
기존 치열을 따라
나란하게 심어져있고

이가 빠져서 오래된 부위가
뼈가 소실되어 푹 꺼져있는데
뼈이식을 후 재건이
잘되어 있는 모습입니다.
쌀알보다 작은 건조된 인공뼈 조각을
흐물거리는 잇몸 안쪽에 넣어
외형을 잡기란 결코 쉽진 않기에
이 정도면 어디 내놔도 부끄럽지 않은 모습입니다.^^

이후 맞춤형 지대주로
튼튼한 기둥을 세워주고
보철을 제작해 드렸습니다.
이렇게 장지역치과 의 증례를 보며
임플란트 파절 과 관련하여
어떻게 계획하고
수술을 해야 되는지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이와 같은 사례로 불편감을
겪고 계신다면 본원으로
내원해 보시는 건 어떠실까요?
상단에 장지역치과 위치를 남겨두었으니
편하게 연락 주시면 됩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치료기간:2023.01.22~2023.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