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역치과 오래된 브릿지 통증 재신경치료 와 디지털 임플란트 과정 ,주의해야 되는 것은?
자연치를 살리는 의사,
성남 산성역치과 쌍둥이 원장 박현성입니다.
이미 신경치료 (endo) 한 치아에
병소가 재발이 되어
다시 처치하는 과정을
리엔도 (re-endo) 라 합니다.
이미 손상을 입은 신경이나 조직을
과거에 충전된 내용물을
모두 제거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되죠.
그러므로 처음 엔도(endo) 보다
더 복잡하고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대부분 첫 근관충전 을 실패하면
뿌리끝 염증 (치근단염) 과 같은
합병증이 나타납니다.
그런데 처치가 잘 되어도
같은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답니다.
“에이~같은 의사 라고
그러는 거 아니야? ” 라고
반문하거나
그게 뭔 소리인가 싶은 분들이
분명 계시겠죠?
산성역치과 에서
진료받아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신경치료 실패 가 되었다면
저는 거리낌 없이
확인된 사실 그대로 말씀드리는 편인데요.
그런데도 정말 잘 처치돼있음에도
재발되는 케이스가 있습니다.
“ 실패 가 아니라 관리 소홀이라고..? ”
왠지 크라운을 씌우고 나면
자연치에 방패를 두른 거 마냥
모든 균이 침투하지 못할 것만
같은 착각이 들 수 있죠.
이 때문에 저는 진료가 끝나면 환자들께
주의사항과 함께 구강 검진을
주기를 정해서 왜 산성역치과 를
다시 오셔야 되는지
꼭 설명해 드리고 있는데요.
그 이유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1) 구강 관리 소홀로 인한 이차우식증
치아는 머리와 뿌리 부분이 있습니다.
입안에서 보이는 곳은
치아의 머리인 치관이고,
뿌리는 잇몸뼈 속에 묻혀서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치관와 이어져 있지요.
크라운을 씌우게 되면
보이는 부분인 치관만
씌우게 되는 것인데요.
항상 크라운 경계 부위의
청결을 주의해야 됩니다.
크라운은 절대 썩지 않지만,
내 자연치인 뿌리와 경계면은
청결하지 않는다면
언제든 썩을 수 있기 때문이죠.
2) 수명을 다한 접착제
산성역치과 어디든
근관충전을 하고
크라운을 치아머리에 씌울 때
접착제를 발라 고정시키게 됩니다.
이 접착제는
오랜 시간이 지나면
침에 의해서 녹아 없어지거나
씹는 힘에 의해서
결합이 깨지게 되죠.
그럼, 그 틈으로 당연히
우리가 맛있게 먹은 음식들이
침과 섞여서 들어갈 수 있겠죠?
(물론, 입안에 있는
충치 균도 함께 말이죠.)
그러므로 크라운을 수복하고 나서도
절대 방치하시면 안됩니다.
칫솔이 닿기 어려운
치아 사이사이는 치간칫솔과
치실로 관리해 주고,
매년 정기검진받는 것이
구강 건강을 지키는데
매우 유리합니다.
정말 중요한 내용이라
서론이 길었는데
잘 안 와닿으시죠?
그럼 이와 관련하여
크라운 속의 접착제가 녹고
내면에 충치가 생겨
재 신경치료 를 했던 산성역치과 사례를
하나 보여드리겠습니다.
“브릿지로 씌운지 한 10년 됐는데
언제부턴가 냄새나고
씹을 때 아파요.. ㅜ.ㅜ”
c.c (주된 증상)
증상이 있는 치아를
두드려봤을 때 통증을 느끼고
크라운 내면에 틈새사
벌어져 미세한 기구를 넣었을 때
부스러기가 나왔습니다.
브릿지 를 뜯어내고 내면을 확인해 보니
머리 부분이 다 썩어이서
35번은 신경치료 와
37번은 리엔도(re-endo) 가 필요했었죠.
이렇게 엔도한 치아는 자연치보다
수명이 짧은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므로 하나에 문제가 나타나면
다 뜯어내야 되는 브릿지 특성상,


35번과 37번을 각각 씌우고
가운데 비어있는 36번은


디지털(네비게이션) 임플란트 분석 1

디지털(네비게이션) 임플란트 분석 3


디지털(네비게이션) 임플란트 분석 3
컴퓨터 분석을 토대로 가이드를 만들어
디지털 임플란트 를 심어 드렸습니다.
『 오늘의 한줄 정리 』
청결한 구강 유지와 주기적인 검진으로
경과 관찰해 주는 것은 필수다!!
만약, 위와 같은 케이스로
상담이 필요하거나
신경치료 실패 한 상황이라면?!
한 곳에 오랫동안 자리 잡은
더서울 산성역치과 에 오셔서
테크니컬한 저에게 맡겨주세요.
가지고 계신 문제를
명쾌하게 해결해 드리겠습니다.^^

치료기간: 2023.03.08~2023.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