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역치과 앞니 신경치료 후 치아 변색 문제 실활치 미백 후 크라운 재수복

안녕하십니까, 태평역치과 더서울 박현성 원장입니다.
치아에 충치가 생겼을 경우,
얼마나 깊이 확산되었느냐에 따라
치료 방법은 달라집니다.
만약에 치수까지 도달했다면,
신경치료를 진행할 수밖에 없는데요.
저희는 되도록 자연치아를 살리는 편으로
진료를 봐드리고 있습니다.
자연치아보다 더 좋은 것은 없기 때문이죠.
때문에 최대한 오래 보존할 수 있도록
진료에 임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처치가 끝났음에도
신경이 죽었다든지,
내부에 또 다른 문제로 인하여
이가 변색될 수 있습니다.
이럴 땐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이와 관련된 증례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태평역치과를 찾아오셨던 환자분은
21번 앞니가 시커멓게 변색되어 있었습니다.
눈에 확 띄죠?
예전에 신경치료를 받았었는데,
어느 순간 점점 이가 검게 변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교합면으로 관점을 바꿔 봤을 때도
다른 치아들과 다르게
변색된 티가 많이 납니다.
환자분께서는 거울을 볼 때마다
이게 너무 스트레스라 하셔서
빨리 해결되었으면 좋겠다 하셨는데요.
이런 경우는 생각 외로 많습니다.
그럼 이대로 치아 모형인 크라운을
씌우면 끝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이처럼 너무 어두운 색을 가지고 있다면,
‘실활치 미백’을 시행 후
크라운을 씌워드리고 있습니다.
(*실활치 : 생활력이 죽은 치아. 신경이 죽은 이)
2. 과정

태평역치과 에서 이를 깎으며
속을 확인했을 때,
내부 역시 마찬가지로
검게 변색되어 있었습니다.
예전에 이미 신경치료를 받았었기에
재신경치료를 진행하게 되었는데요.
내부에 오염된 부분을 꼼꼼히 제거하며
소독해 드렸습니다.
그 후, 텅 빈 내부에 실활치 미백 재료를 넣습니다.
한번만에 끝나는 것이 아닌,
1주일을 간격으로 내원하여
미백 재료를 넣어줍니다.
어느정도 색이 하얗게 되었을 때,
약제를 걷어내줍니다.
3. 보철 제작

실활치 미백 진행 후,
프랩을 해줍니다.
이제 그 위에 씌워질 크라운을 만들 차례인데요.
옆에 있는 치아들과 색에 있어
차이가 나면 안되기 때문에
‘Shade Guide’를 이용하여
알맞은 보철색을 체크합니다.
태평역치과 에서 확인 결과,
C2를 선택하는 게 적합했습니다.

그렇게 기공소에 제작 요청 후,
일상 생활을 하실 수 있게끔
임시 보철을 씌워 드립니다.
말 그대로 임시로 씌운 겁니다.
이것을 평생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튼튼하지 않으며 잠시만 활용하는 겁니다.
최종 보철이 제작 후 전달되었을 때,
세팅을 하게 되었는데요.
최종적으로 제작된 크라운을
21번 앞니에 세팅합니다.
옆에 있는 11번, 22번 앞니랑 비교하면
자연스럽게 잘 만들어졌죠?
색이나 형태, 크기에 있어
자연스러워 보일 수 있도록
꼼꼼하게 만들었습니다.
환자분께서 웃었을 때,
실제로 보여지는 모습인데요.
실활치 미백 치료 후 크라운을 씌운 결과에
만족스러워 하셨습니다.
이제는 거울을 보더라도
스트레스 받지 않을 수 있게 되었다며
좋아하셨는데요.
이와 같은 상황은 관리하지 않으면
또 겪을 수 있으니,
태평역치과 에서는
평소에 꼼꼼한 관리를 요청드렸습니다.
정기검진 또한 잊지 않고
받으러 오실 것을 당부드렸구요.
오늘 함께 살펴본 케이스처럼
신경치료 후 이가 변색된다면,
빠르게 실활치 미백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미적으로 좋지 않을 뿐만이 아닌,
추후에 더 크게 악화되어
큰 수술을 받게 될 수 있습니다.
되도록 평소에 이런 일이 없도록
올바른 양치질과 치실 사용으로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리고 6개월 또는 늦어도 1년에 한번은
검진을 받으러 오셔서
구강 내 발생한 질환은 없는지
꼭 체크하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태평역치과 더서울 박현성 원장이었습니다.

치료 기간 : 2023.09.06 ~ 2023.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