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구치 파절에 따른 태평역치과 임플란트 수술 사례 (One-day)

안녕하세요, 박현성 원장입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우리 몸은
조금씩 쇠약해질 수 있습니다.
구강 내 환경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수십년간 지속 된 교합력이 이에
누적이 되면서
1. 치경부 마모증 (cervical abrasion)
2. 치아 크랙 (tooth crack)
등의 증세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그 범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통증 등의 자각 증세가 잘 느껴지지 않아
적시에 태평역치과 로 못 오시는 분들이
은근히 많습니다.
그래서 이런 부분은, 3개월 내지
6개월에 한번씩 시행하는 정기검진을
통해서 더 큰 문제로 번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1. 통증이 있습니다.
라는 주소로 태평역치과 에
찾아오신 환자의 주소입니다.

구개면에서 살펴본 사진입니다.
소구치의 씹는면 1/2 가량이
실금이 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보존을 할 수 있을지는
조금 더 진단을 해야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파절 된 잔여
부위의 동요도(Mobility)가 상당히
심했으며 살짝만 힘을 줬는데도
사진에서 보실 수 있는 것 처럼
잔여 조각이 탈락 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여기서 치관의 일부분만
나가 떨어졌다면 신경치료 및
보철치료를 통해서 보존적으로
접근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치근(뿌리, Root)쪽의
결손도 같이 확인이 되기 때문에
발치 후, 임플란트 수술을
진행해야 되는 상황입니다.
2. 발치 판정 및 정밀 진단
멀리서 태평역치과 까지 찾아오셨는데,
보존을 해드리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
조금 속상했던 것은 사실입니다.
뭐니뭐니 해도, 자연치가
좋기 때문입니다.
이 환자는 연세가 꽤 되신 분입니다.
그래서 해당 소구치아의 크랙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교합력의 누적’ 으로 볼 수 있습니다.

나아가, 엑스레이 촬영을 통한
정밀진단 과정에서도 맞물리는 대합치가
임플란트 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본 원 에서 진행한 건이
아니기 때문에 수술 당시에
교합점의 위치 및 대합치아와의
교합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셨는지
알 수 없으나
이렇게 맞물리는 곳이 임플란트인
경우에는 종종 자연치의 파절이
일어날 때가 있습니다.
* 자연치아 보다, 보철의 경도가
높을 때에는 지속되는 교합운동에
있어서 스트레스를 주게 되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그래서, bite check 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조금 더 자세히 보겠습니다.
발치 판정을 했기 때문에
이를 뽑는 위치의 CT 판독을
진행하여 뼈의 단면 및 형태를
살펴보면서 고정체의 예상 식립
위치를 결정해야 됩니다.
CT 촬영 결과는
a. 이미 치조골이 상당히 많이 녹아있다.
b. 뼈의 두께도 얇은 상태이다.
이 2가지를 중점적으로 고려했을 때,
사전에 예상 식립 위치를 정밀하게
설정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본 원 에서는 항상 수술 전에,
미리 모의시술 계획을 수립하여
미리 수술 후 예측 결과를 확인합니다.
이렇게 뼈가 얇을 때에는
인공치근의 식립 기울기가 조금이라도
이상하게 설정 된다면 술 후 결과가
잘못 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3. 고정체 식립
환자께서는 멀리서 태평역치과 까지
찾아오셨던 분이라 최소 내원 횟수 로
진료를 종결하길 바라셨습니다.
따라서 당일 진단을 내린 뒤에,
원데이 수술을 진행해드렸습니다.

앞서 설명드린 것 처럼 미리
CT 촬영을 통해서 예상 식립 위치를
결정한 내용 그대로 인공치근이
뼈 속에 심겨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4. 4개월 뒤, 최종 결과
4개월의 시간이 흐르면서,
환자께서 태평역치과 에 내원을
한 횟수는 2회 정도 입니다.

모의 시술을 진행 할 때,
미리 3D 시뮬레이션으로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형태 및 교합 관계까지
예측을 했기 때문입니다.
해당 사진을 보면서 이 시술이
잘 되었는지 판단하는 기준이 있습니다.
가운데에, 하얀색으로 채워진 곳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뼈 속에 있는
임플란트와 크라운을 연결하는
나사가 들어가는 길목 입니다.
크라운의 정중앙에 위치 된 것을
볼 수 있죠?
물론 환자분은 쌍따봉…
5. 정리 및 추가 내용

치아에 발생 되는 맞물리는 힘의 경우에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 처럼 수직적으로
들어오는 것이 아닙니다.
사람마다 치조골의 형태나
치아의 배열이 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위에 예시로.. 그림을 하나 그려봤는데
저런식으로 시술이 되었는데 맞물리는 힘이
밑에서 치고 올라온다면?
위쪽의 뼈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상당히 많으면서 보철의 파절 및
abutment screw fracture 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결국, 재시술 및 재보철치료로
이어지는 경우가 만들어지죠.
그래서, 임플란트 시술의 경우
많이 해본 곳에서 진행을 해야 됩니다.
추가로, 늘 드리는 말씀.
정기검진은 반드시 3개월 내지
6개월에 한번씩 받으시길 바랍니다.
언제나, 태평역치과 에서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박현성 원장이였습니다.

치료 기간 : 2024.03.04 ~ 2024.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