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란역 치과 신경치료 케이스 충치 예방이 중요한 이유 함께 알아보자
더서울 박현준 원장입니다.
우리의 치아는 한번 손상되면
되돌아올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더욱 관리에 관심을 두고
충치, 치주 질환을 예방해야 되는데요.
그러나 많은 분들이
청결 관리에 소홀하여
충치에 걸리곤 합니다.
이것은 한번 진료 받은 부위라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습니다.
이곳은 병소가 더욱 빠르게
치수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관심이 있어야 되는 부위인데요.
그렇다면, 모란역 치과 와 함께
신경치료 케이스를 통해서
이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1. 이차 우식

촬영일 : 2024.11.13
X-ray 사진을 보게 되면
다수의 보철을 씌워 놓은
구내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겉보기에는 멀쩡해 보이더라도
내부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요.

촬영일 : 2024.11.13
사진처럼 브릿지를 드러낸 결과
염증과 이물질이 많이 쌓여있습니다.
특히 45번은 우식이 진행되어,
검게 변해있는 모습을 볼 수 있죠.
보철을 씌웠는데
어떻게 우식이 생긴 걸까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모란역 치과 에서 말씀드리자면
대개 청결에서 나타나는 문제인데요.
보철과 치아 사이의 경계
즉 마진 부분이 청결하지 못하면
세균이 틈에 침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치주 질환이 있는 분이라면
잇몸이 내려앉게 되면서
더욱 큰 공간을 만들 수 있죠.
그런데 아무래도 수복하여
치관이 가려져 있다 보니
육안으로는 확인하기 힘들어
통증이 나타나고서야 내원을 하는데요.
처음 우식이 생겼을 때와 다르게
자연치의 상아질에 발생하게 됩니다.
그로 인해 더욱 빠르게
치수로 침투하는 경우가 있어
발치를 진행하는 케이스도 많습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일이 나타나기 전
서둘러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겠죠?
2. 신경치료 과정
45번처럼 이차 우식이 진행되었다면
단순한 충치 제거로는 해결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모란역 치과 에서 말씀드리길
신경치료가 필요한데요.

촬영일 : 2024.11.13
충치가 진행된 감염된 치질을
깔끔하게 삭제하고 나서
근관으로 접근할 통로를 만듭니다.
그리고 미세 기구를 활용하여
근관내 남아있는 치수 조직을 제거하고
재감염이 없도록 세척을 해주게 되죠.
이어서, 비어 있는 근관 내를
그냥 내버려두게 되면 세균이 증식하는데요.
이것은 염증을 일으키게 되고
추후 발치를 고려해야 되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GP 콘이라는 재료를 사용해서
꼼꼼하게 충전을 해주는데요.

촬영일 : 2024.11.20
사진처럼 미세한 뿌리 끝을
가득 채워 넣는 것이 핵심이죠.
이후 건전 치질의 양을 고려하여
단단한 레진으로 코어를 형성해서
충격에 버틸 수 있도록 보강을 합니다.
이어서 구강 내 환경을 디지털 스캔하여
정교하게 만들게 됩니다.
3. 진료 후 모습

촬영일 : 2024.11.27
모란역 치과 에서 보여드리는 사진은
신경치료 를 마친 후의 모습입니다.
보시다시피 크기나 형태가
이질감 없이 자연스러운데요.

촬영일 : 2024.11.27
X-ray 사진에서도
염증 같은 특별한 소견 없이
잘 유지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전에 봤던 모습과 다르게
2개의 보철이 수복하고 있는데요.
오늘 설명해 드린 내용처럼
근관 치료를 받게 되면
치수를 정리하게 됩니다.
이곳은 혈류, 영양을 공급받지 못해
점점 건조해지고 푸석해지는데요.
이런 부위는 일반적으로
큰 충격이나 반복적인 압력에 의해
쉽게 부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에 이전처럼
3개의 저작압을 버티기보다는
2개의 치아를 수복한 것이죠.
이처럼 모란역 치과 에서는
진료받는 환자의 구강 환경에 따라서
보철의 제작되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되는데요.
이를 통해 진료를 마친 것이 끝이 아닌
문제없이 잘 사용할 수 있는
구강 환경을 만들 수 있는 거죠.
오늘 설명해 드린 내용처럼
이차 우식은 자연치를 잃게 만드는
무서운 질환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위의 케이스처럼
늦지 않은 시기에 진료를 받게 된다면
다시 치아를 살려볼 수 있는데요.
또한 모란역 치과 에서는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고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단순한 양치질부터 시작하여
구강 보조용품을 사용하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는데요.
마지막으로 정기검진을 받아
상태를 점검하게 된다면
건강한 구강을 지킬 수 있습니다.
만일 통증이 느껴진다면
주저하거나 망설이는 것보다는
이른 시일 내 검진을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치료 기간 :2024.11.13 ~ 2024.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