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역 사랑니 발치 치과 잇몸 속 염증 통증을 일으키는 3대구치 문제없이 뽑기 위해서는?
안녕하세요,
더서울 박현준 원장입니다.
“사랑니(제3대구치)”
이름만 봤을 때는 참 이쁘지만,
막상 자라고 나면 불편함은
말로 다 표현하기도 힘든데요.
보통 치아들의 배열이 끝나고
늦은 시기에 뒤쪽에 맹출 하기에
이미 배열된 치열을 비집고 나오게 됩니다.
그런 이유로 올곧게 자라는 것은 드물고
치조골 속에 기울거나 또는 눕고
심지어 뼈에 매복된 경우도 있습니다.
대개 이런 치아들은 얌전하지 않고
잇몸 속 염증, 통증을 일으키며
큰 불편감을 안겨주게 되는데요.
계속 방치하는 것은
해결책이 되지 않기 때문에
조기에 뽑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기 위해 3~6개월에 한 번은
나의 상태를 체크해 보는 것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
이번 글을 통해 느끼시길 바랍니다.
그럼 태평역 치과 에서
사랑니 발치 에 관련된 내용을
이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초진
초진 사진을 보겠습니다.

촬영일 : 2025.02.27
좌측 아래의 어금니 뒤쪽으로
동그랗게 표시된 부분을 살펴보면
3대구치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형태는 치관이 일부 밖으로 드러나 있는
부분 매복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 일부 나와 있는 치관 사이로
치태나 음식이 끼게 되고
후에는 붓게 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잇몸 속 염증이 형성되고
통증까지 동반되는데요.
정말 무서운 점은
처음엔 증세가 심하지 않아,
금방 지나칠 것처럼 느껴지는 것입니다.
그러나 잇몸 속 염증이 심화되어
주변 치조골, 신경관에 퍼지게 되면
큰 문제로 이어지게 될 수 있죠.
그렇다면 조기에 뽑아주어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촬영일 : 2025.02.27
그러나 태평역 치과 에서
해당 케이스의 3대구치는
특이한 점을 하나 더 발견했는데요.
그건 치아 뿌리 끝이 휘어 있는
만곡 치근이라는 점입니다.
사진처럼 치근 끝이 꺾여 있는 형태로
치조골이 단단하게 잡아주고 있기 때문에
뽑는 과정에서 부러질 수 있는
고난이도의 케이스라 말할 수 있습니다.
2. 그럼 뽑지 못하는 걸까요?
물론 뽑을 수 있는데요.
태평역 치과 에서는
해당 케이스의 사랑니 발치 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말한 겁니다.
다만, 치료를 시작하기에 앞서
꼭 선행되어야 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CT 촬영인데요.
단순 엑스레이로는 정확한 위치
하치조신경과의 관계, 뿌리의 형태 등
많은 부분을 놓칠 수 있기 때문이죠
특히 지금처럼 매복되어 있고
치근이 만곡된 케이스는
신경 손상의 위험이 큽니다.


촬영일 : 2025.02.27
사진처럼 3D 이미지를 통해
맹출 된 방향, 치아의 깊이 등 파악하여
안전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죠.
또한 표시된 부분은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데 치근단이 가깝게 붙어있습니다.
이곳의 위치를 잘 파악했으니
고려하여 뽑으면 되는 거죠.
3. 치료 결과

촬영일 : 2025.02.27
태평역 치과 에서 보여드리는
사진은 사랑니 발치를 통해
잇몸 속에서 나온 치아인데요.
어디 하나 부러진 곳 없이
잘 뽑아진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촬영일 : 2025.02.27
이어서 엑스레이를 확인해도
어금니가 자리 잡고 있던 곳은
속 시원하게 비어 있네요.
또한 신경관에도 영향이 없어
잘 마무리된 모습입니다.
이곳이 잘 치유되어
뼈가 차오를 수 있도록
관리 잘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4. 결론
3대구치, 꼭 아플 때만 뽑는 건 아닙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문제를 키우기 전에 파악하고
적기에 치료를 받아야 되는데요.
단지 무섭거나 귀찮다는 이유로
미루게 되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주변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오늘 설명해 드린 내용처럼
조금이라도 빠르게 뽑는 것이
2차 문제를 방지하고
구강 건강을 지키는 방법입니다.
태평역 치과 에서 설명해 드린
사랑니 발치 케이스가
많은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이번 포스팅은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치료 기간 :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