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니 충치치료 임상증례, 아름다움을 개선시켜드렸네요.

이제, 저번 1편 및 2편에 이어서 끝을 달리는
3편 내용인 앞니 충치치료 에 관련 된 글입니다.
1~3편의 사례는 한명의 환자로부터 나온
사례이며 꽤 오랜 기간에 거쳐서 진료를
받으셨던 분입니다.
한번에 다 설명을 드리려니,
쉽지 않은 부분도 있었으며
읽는분들로 하여금, 이해를 더 쉽게
시켜드리기 위해 세번에 걸쳐서 분할 포스팅을
진행해봤습니다.
이제, 앞니 충치치료 사례를 보여드리면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사진을 보면 #11 중철치쪽에 광범위 우식증으로
의심되는 소견이 관찰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거, 치과 재료로 수복을 하셨던 거 같은데
그 틈 사이로 2차 우식증이 나타난 것으로
보여집니다.
우선, 해당 앞니 충치치료 를 진행하려면
여러가지 테스트를 진행해봐야 됩니다.
일명, 생활력 검사라 부를 수 있는데
차가운 것, 뜨거운 것 등을 갖다대면서
신경이 얼마나 살아있는지, 또는 통증을
느끼는지를 통해서 상황 파악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분은, 가만히 있어도 어느정도의 욱신거림 및
통증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였기 때문에
신경치료를 진행해야 되는것으로 판단됩니다.
단순히 충치 만 걷어내는 것이 아니라 근관 속을
깨끗하게 비운 뒤에, 소독을 하며 밀폐 재료로
꼼꼼히 빈 뿌리 속을 밀폐시켜야 끝나는 진료죠.
근데, 앞니 는 크키가 조그맣기 때문에
뿌리속 또한 통로가 좁습니다.
이 뜻은, 신경관 속을 깨끗하게 청소하는게
쉽지 않다는 말과 같습니다.

일단 나아가, 우식증에 따라서 썩어있는 부위는
모두 깨끗하게 제거를 해드렸으며
방습환경을 갖춰서, 밀폐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해상도 높은 방사선 엑스레이에서 보실 수
있는 것은 마스터콘 이라는 재료입니다.
이것들을, 뿌리 끝(Apex)까지 밀어넣으면서
빈 틈 없이 수복을 해나가야 추후에 또 다른
문제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첨부 된 위에 링크 2개를 보면,
방습환경이 어떤것인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아실 수 있으니 꼭 클릭해서 보셔요.

자, 이렇게 앞니 충치치료 가 끝났으며
근관 속도 꼼꼼히 밀폐됨에 따라서
지르코니아 크라운까지 수복이 되었습니다.
처음에 오셨을 때는, 치면이 울퉁불퉁했던 걸
볼 수 있는데 이제는 그렇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어요.
통증 또한, 말끔히 사라지셨으며
조금 더 밝게.. 웃게 되신거 같네요..^^

치료 기간 2022.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