씹을 때 이가 시리다면? 신경치료로 금간치아 살리기 (crack tooth)

팔이나 다리에 crack이 가면
어떤 방법으로 치료를 도울까요?
골절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부목을 덧내어 고정을 시켜놓게 됩니다.
깁스를 통해 몇 주간 치유기간을 갖게 되면
자연스레 본래의 상태로 돌아오게 되는데요.
『그러나 자연치에 균열이 갔다면?』
얘기는 좀 달라지게 됩니다.
안타깝지만 우리의 자연치는
한번 손상을 입게 되면
스스로 회복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인위적인 치료, 보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될 수 밖에 없죠.
균열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게 되는데요.
실제 환자의 진료 과정을 살펴보며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밥 먹다가 돌을 씹었는데..』
『일주일 전에 배달음식 먹다가
돌을 씹었는데
너무 시리고 씹을 때도 통증이 있어요.』
이시림과 통증,
금간치아 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
초기에는 찌릿하는 느낌이 오면서
불편함이 일시적으로 생겼다 사라지지만,
어느정도 진행이 되었다면
통증의 빈도가 더 잦아지며
불편함이 계속되게 됩니다.
나중에는 고름이 나오거나
이가 흔들리는 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죠..

이분께서는 차가운 음식을 마시거나
식사를 할 때 발생한다고 하셨는데요.
증상만 보고 판단을 했을 때에는
초기일거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박원장의 바람이기도 합니다ㅎㅎ)

다행히 예상했던 그대로
금간치아 가 발견되었긴 했지만
균열의 범위가 그리 크진 않았습니다.
『어떻게 치료를 해야 될까?』
금간치아 는 균열범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게 되는데요.
간단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 경미하고 미세한 라인 (craze line)
: 치료가 필요한 상태는 아닌데요.
그러나 생활 곳곳에서
큰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조심해서 생활해야 됩니다.
아무리 미세하다해도
계속해서 충격을 받게 되면
큰 파절로 이어질 수 있죠.
2) 치관 파절
: 머리 부분에만 파절이 일어났다면
더 벌어지지 않도록 보철치료가 필요합니다.
금간치아 신경에도 염증이 생긴 경우에는
신경치료를 통해 회복하기도 하죠.
파절 범위 및 술자의 판단에 따라
신경치료를 동반할 수도,
보철만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3) 치근 파절
: 뿌리 부근에도 균열이 갔다면
발치 후 임플란트를 심어야 됩니다.
환자의 경우 치관 부위의 파절이였으며
약간의 신경 손상도 나타나 있었기 때문에
신경치료를 동반한 크라운 수복으로
문제를 개선하기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통증은 다 사라졌을까?』
계획했던대로 감염된 치수 조직을 제거한 뒤,
충전재를 사용하여 뿌리 끝(apex)까지
빈 공간이 없도록 채워넣었습니다.


뿌리 끝까지 확실하게
채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여기서 제 성격이 드러나게 되네요^^;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한번 할 때 확실하게, 꼼꼼하게 진행해야 되죠.
저는 뭐.. 자칭, 타칭 박꼼꼼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ㅎㅎ
몇차례의 확인을 거쳐
확실하게 밀폐된 것을 확인한 뒤
신경치료 과정을 마쳤습니다.
금간치아 개선 과정이 거의 마무리 되어가는데요.
레진을 사용하여 코어 작업을 하고
보철을 제작하기 위해 지대치 형성을 했습니다.

예쁘고 매끄럽게 다듬어진 것을 볼 수 있네요.
아래 어금니는 하품을 하거나
대화를 할 때 눈에 띌 수 있는 곳이라
심미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데요.
더서울에서는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제작하여
저작 및 외관 기능을 보강했습니다.

실제 자연치라 해도 믿을 정도로
자연스레 완성된 것을 볼 수 있네요.
『글을 마치며』
금간치아 는 초반에는 나타나는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작은 불편함이 느껴진다면
즉시 내원을 하는 것이 좋은데요.
『그보다 더 좋은 것은
주기적으로 검진을 받는거겠죠?』
3-6개월에 한번은
검진을 받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장담컨대.. 치료 받으러 오셔서 저를 보는 것 보다는
검진 때 보는 것이 더 좋으실겁니다.
더 아픈 것은 물론이며 비용, 치료기간도 더 오래걸리죠.
이상, 박현준 원장이었습니다.



치료기간: 2022.03.21~2022.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