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저 이가 시려요.” 씹을 때 이가 시리다면? 치아에 금이 간 크랙(crack)! 성남치과 신경치료 임상 증례

제일 먼저 의심해 봐야 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치아 표면에 금이 간 것인데요.
강한 충격이나 외상으로 인해
금(crack)이 생기게 되었다면
물이나 음식을 먹을 때마다
통증과 이 시림 등 불편함을 동반하게 됩니다.
이 시림이 느껴진다면 하루빨리
성남치과 에 오셔서 치료를 받아야 되지만,
많은 분들이 대수롭지 않게
여기곤 하더라고요..
『그러나 절대 그래선 안됩니다!』
작은 치아 크랙이라도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더 큰 파절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악화되기 전 올바른 조치를 취하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죠^^
자, 오늘 성남치과 에서 소개해 드릴 내용은
“이가 시려요!”라며 오셨던
한 중년 남성 환자분의 진료 과정인데요.
함께 보며 자세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 시림의 원인은?!』
『“아우 선생님, 요새 음식을 씹을 때마다
머리까지 지끈거리는 느낌이 들더라고요.
이가 시려서 잠도 제대로 못 자겠어요.”』
성남치과 에 오셨던 환자분께서는
극심한 이 시림으로 인해
불편감을 겪고 계셨는데요.
본인 스스로 거울을 봤을 땐
아무런 증상이 없는데..
도대체 왜 아픈 건지 모르겠다며
검진을 받으러 오신 겁니다.
구강 내 나타난 문제들은
육안 관찰만으로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겉으로 나타난 문제 보다
치아 내부에 나타난 문제들이
훨씬 많기 때문이죠!
자, 환자의 증상을 토대로
성남치과 검진을 시작했는데요.
겉으로 확인했을 때는 교합면에 나타난
정지 우식, 그리고 다량의 치석들이
발견되고 있었습니다.

음.. 이런 문제도 구강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되곤 하지만,
아무래도 이 시림의 원인은 아닌 것 같았는데요.

방사선 촬영을 통해 눈에 띄지 않는
내부를 확인해 본 결과,
치수강 근처까지 감염된 것이 확인이 되었습니다.
『계획』
이 시림과 내부 병소가 관찰되었기 때문에
성남치과 에서는 신경치료를 통해
현재 나타나는 불편감을 개선하기로
계획을 세웠습니다.
간혹 스케일링이나 치주치료로
해결되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이 환자분처럼 치수 근처까지
병소가 퍼진 경우에는 신경치료로
감염된 곳을 모두 제거하고 소독 과정을 거쳐,
새로운 충전재로 채워줘야 됩니다.
『이 시림이 사라졌을까?』
신경치료를 위해 치아 표면을 다듬고
작은 홀(hole)을 뚫었는데요.

음.. 크랙(crack)이 생긴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금이 간 것은 방사선 촬영으로
확인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의료진의 경험을 토대로 예측을 하거나
육안으로 관찰하는 수밖에 없죠.
깨진 틈 사이로 이물질이나
외부 감염 요소들이 침투하여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 것 같은데요.


성남치과 에서는 감염된 근관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 소독하고
충전재를 사용하여 내부 충전을 마쳤습니다.
『뿌리 끝까지 빼곡하게
채워진 모습이 관찰되시나요?ㅎㅎ』
이렇게 확실하게 채워져 있어야
신경치료의 결과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크라운 제작을 위해
치아 표면을 다듬는 프랩(prep)을 거친 후
최종 보철 완성까지 도와드렸습니다.

『함께 확인해 볼까요?』
어금니 교합면 형태도 재현이 잘 되었으며
색조 또한 자연치와 유사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네요.
한눈에 봐도 깔끔하게 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성남치과 에서는 주의사항 안내 및
청결관리를 당부드리며
신경치료 과정을 마쳤습니다!
『글을 마치며』
갑자기 없었던 치통과 이 시림이 생기게 되면
금이 간 것은 아닐까 의심해 봐야 됩니다.
만약 이와 비슷한 이유로
내원을 망설이는 분들이 계시다면,
더 큰 파절로 이어지기 전
성남치과 에 오셔서 진료를 받아보길 바랍니다.
우리의 구강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제일 확실한 방법은
예방 및 조기 발견이라는 것을 당부드리며
이만 글 마무리 짓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치료 기간 : 2022.10.04 – 2022.11.28





